이번 포스팅에서는 은행별 신용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13일에 발표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1%로 지난 4월의 4.9%에서 대폭 둔화가 되었습니다. CPI는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 상승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와 같이 CPI 상승세가 꺾이면서 앞으로 금리 상승이 멈추는 것을 넘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미국이 금리를 동결하고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나라의 금리에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현재 한국의 기준 금리는 3.5%로 현재 3차례 연속 동결을 단행했습니다. 한국은행은 물가 흐름이 애초 예상대로 뚜렷한 안정세인데다 추가 인상에 따른 경기 위축 부담 때문에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지표금리가 내려간 데다 은행의 가산, 우대금리 조정 등의 영향으로 은행들의 대출금리가 5개월 연속 하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신용대출 금리도 조금씩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중 은행별 신용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중 은행별 신용 대출금리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은행별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카카오 뱅크가 가장 낮은 금리로 최저금리가 4.81%입니다. 지난달보다 신용대출 최저 금리가 0.15%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그리고 가장 높은 금리는 전북은행이고 금리가 8.84%입니다.
각 은행별 신용 대출금리의 경우 고객의 신용점수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은행별 신용점수에 따른 최저 대출금리와 최고 대출금리 그리고 평균금리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은행명 | 최저금리 | 최고금리 | 평균금리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 4.81 | 11.3 | 5.55 |
신한은행 | 5.25 | 11.57 | 5.65 |
중소기업은행 | 5.26 | 7.11 | 5.44 |
하나은행 | 5.51 | 12.21 | 5.97 |
경남은행 | 5.55 | 13.06 | 6.63 |
우리은행 | 5.6 | 12 | 5.86 |
국민은행 | 5.67 | 7.64 | 5.87 |
제주은행 | 5.93 | 10.9 | 10.9 |
농협은행주식회사 | 5.98 | 9.68 | 6.62 |
주식회사 케이뱅크 | 6.07 | 7.86 | 6.37 |
부산은행 | 6.21 | 7.14 | 6.49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 6.4 | 10.68 | 7.48 |
대구은행 | 6.48 | 12.27 | 8.12 |
토스뱅크 주식회사 | 6.73 | 12.11 | 7.41 |
광주은행 | 6.76 | 14.21 | 8.15 |
전북은행 | 8.84 | 14.93 | 11.68 |
대출금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낮고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높습니다. 그러나 몇몇 은행의 경우 신용점수가 낮은데 더 낮은 대출금리를 갖는 은행들도 있습니다.
이렇게 이번 포스팅에서는 23년 6월 4주차에 공시된 은행별 신용 대출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들은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시켜드렸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의 경우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이 되어 지연공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금리의 경우 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마이너스통장 금리 비교 (23년 6월 4주차) (0) | 2023.06.21 |
---|---|
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23년 6월 4주차) (0) | 2023.06.21 |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23년 6월 4주차) (0) | 2023.06.19 |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3년 6월 4주차) (0) | 2023.06.19 |
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23년 6월)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