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3년 6월 4주차)

by AI 초이스 2023. 6. 19.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알아보기 전에 간단히 현 경제 상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13일에 발표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1%로 지난 4월의 4.9%에서 대폭 둔화가 되었습니다. CPI는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 상승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와 같이 CPI 상승세가 꺾이면서 앞으로 금리 상승이 멈추는 것을 넘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미국이 금리를 동결하고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한다면 우리 나라의 금리에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현재 한국의 기준 금리는 3.5%로 현재 3차례 연속 동결을 단행했습니다. 한국은행은 물가 흐름이 애초 예상대로 뚜렷한 안정세인데다 추가 인상에 따른 경기 위축 부담 때문에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bit.ly/3kCkK4g

 

그리고 지표금리가 내려간 데다 은행의 가산, 우대금리 조정 등의 영향으로 은행들의 대출금리가 5개월 연속 하락하였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중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은행별 자금 보유 현황이나 정책 그리고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또한 상품별로 우대금리 차이가 있어 동일한 상품이어도 고객에 따라 대출금리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시중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상품들의 금리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금리 정보는 금융감독원에 6월 14일에 공시되어 있는 전세자금대출을 금리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상환 방식은 만기일시상환이며 변동 금리 상품을 기준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은행의 전세자금 대출상품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은행별로도 하나의 상품이 아닌 여러 상품이 존재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은행별 전세자금대출금리 비교 그래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은행들의 전세자금대출 상품의 금리 중에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은행별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낮은 순으로 그린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았을 때 IBK 은행의 전세 대출의 최저 금리가 가장 낮습니다. 전체적인 추세를 보면 절반 정도가 3%대 금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럼 시중 은행별 전세자금대출(전세대출) 상품들의 금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표에 나와 있는 상품들의 순서는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낮은 은행부터 나열한 것입니다.

 

은행상품명 최저 최고 전월 평균금리
중소기업은행 IBK안심전세대출 3.23% 6.13% 5.32%
중소기업은행 IBK안심전세대출 3.26% 5.36% 4.08%
중소기업은행 임차자금 3.29% 6.19% 5.22%
중소기업은행 임차자금 3.33% 5.43% 4.60%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3.35% 5.05% 4.28%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3.36% 5.06% 4.09%
중소기업은행 IBK전세대출 3.43% 6.33% 5.07%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서울보증보험) 3.45% 5.05% 4.15%
중소기업은행 IBK전세대출 3.47% 5.57% 4.15%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전월세보증금 대출 3.59% 3.59% 3.49%
주식회사 케이뱅크 전세대출 3.69% 3.69% 3.90%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3.71% 5.41% 5.51%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3.73% 5.43% 5.73%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서울보증보험) 3.81% 5.41% 5.43%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주택금융보증) 3.81% 4.81% 4.64%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주택금융보증) 3.81% 4.81% 4.30%
국민은행 KB플러스전세자금대출 3.83% 5.23% 4.38%
국민은행 KB주택전세자금대출 3.84% 5.24% 4.39%
경남은행 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3.88% 6.28% 5.16%
경남은행 고정금리 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4.03% 4.88% 4.03%
신한은행 신한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4.07% 5.17% 4.29%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서울보증) 4.10% 5.10% 4.54%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서울보증) 4.10% 5.10% 4.73%
신한은행 신한전세대출(서울보증) 4.13% 4.93% 4.23%
경남은행 모바일전월세자금대출 4.28% 6.28% 4.78%
대구은행 DGB 전세자금대출 4.32% 4.82% 4.32%
대구은행 무방문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4.32% 4.32% 4.19%
부산은행 BNK행복스케치전세자금대출 4.37% 6.17% 4.68%
부산은행 BNK전세안심대출 4.47% 5.97% 4.71%
부산은행 BNK프리미엄전세자금대출 4.57% 6.57% 5.11%
대구은행 DGB POWER 전세보증대출 4.62% 5.12% 4.42%
대구은행 무방문전세자금대출 4.62% 4.62% 4.51%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전세담보대출 4.78% 5.68% 4.82%
수협은행 Sh전세보증대출(서울보증보험) 4.85% 6.62% 4.72%
수협은행 Sh전세보증대출(주택금융공사) 4.85% 6.64% 4.77%
수협은행 공공주택임차보증금담보대출 5.18% 6.68% 5.12%
전북은행 BEST전세자금대출 5.54% 6.84% 5.90%
제주은행 주택전세자금대출 6.11% 6.81% 5.47%

 

 

표를 보면 대부분의 시중 은행들의 전세자금대출 상품들이 있습니다. 전세대출 상품의 금리가 가장 낮은 상품은 3% 초반대부터 있으면 가장 높은 금리는 6%까지도 있습니다.

 

은행마다 그리고 은행내에서도 고객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대출을 하시기 전에 미리 은행에 가서 금리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출의 경우 주거래 은행만 고려하기보다는 직접 여러 은행을 비교하여 대출을 받으시면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6월 4주차 기준 가장 최근에 공시된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는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최신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의 경우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이 되어 지연공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금리의 경우 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낮은 금리를 가지는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