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잘 알고 있는 제1금융권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 비교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의 경우 국내외 정세에 영향을 받아 변하게 됩니다.
시중 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를 알아보기 전에 간단히 미국과 국내의 경제 상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12월 13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에서 2023년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기준금리가 5.5%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번에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9월과 11월 이후 세 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목표인 2%대 물가상승률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기준 금리를 조금 더 유지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겠다고 합니다.
최근 발표한 미국 국내총생산 증가율이 연율 3.3%를 기록하면서 전망치 2%를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작년 3분기에 이어 4분기에 더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런 성장에 맞춰 올해 3월부터 금리 인하를 할 것이라는 기대가 한풀 꺾인 분위기입니다.
그러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2% 수준으로 내려와서 전문가들은 늦어도 5월에는 첫번째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1월 11일에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월 이후 8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2%로 한국은행의 목표치인 2%까지 내려올 때까지는 기준 금리 동결을 가져갈 예정으로 보입니다. 물가가 안정권에 들어올 때까지는 현재 긴축적인 수준의 고금리를 유지하면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 한국은행의 입장입니다.
현재 금리 기준으로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2%입니다.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 금리 추이와 차이를 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중 은행별 신용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중 은행별 신용 대출금리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은행별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현재 신용대출 금리가 가장 낮은 곳은 우리은행으로 최저금리가 4.46%입니다.
지난 1월과 비교하여 금리가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각 은행별 신용 대출금리의 경우 고객의 신용점수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은행별 신용점수에 따른 최저 대출금리와 최고 대출금리 그리고 평균금리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은행명 | 최저금리 | 최고금리 | 평균금리 |
우리은행 | 4.64 | 12 | 5.76 |
신한은행 | 5.31 | 13.93 | 5.73 |
우리은행 | 5.41 | 11.5 | 5.71 |
중소기업은행 | 5.5 | 9.5 | 5.69 |
하나은행 | 5.55 | 11.48 | 6 |
주식회사 케이뱅크 | 5.58 | 6.38 | 5.73 |
농협은행주식회사 | 5.69 | 11.09 | 6.03 |
국민은행 | 5.79 | 6.85 | 5.97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 5.84 | 9.09 | 6.65 |
수협은행 | 5.85 | 7.71 | 5.93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 5.88 | 8.03 | 6.27 |
토스뱅크 주식회사 | 6.16 | 13.62 | 6.72 |
제주은행 | 6.35 | 18.46 | 7.59 |
부산은행 | 6.46 | 7.57 | 6.8 |
대구은행 | 6.6 | 11.51 | 9.18 |
광주은행 | 6.79 | 11.02 | 8.14 |
경남은행 | 6.89 | 13.03 | 8.25 |
전북은행 | 8.36 | 15 | 11.25 |
대출금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낮고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높습니다.
이렇게 이번 포스팅에서는 24년 2월에 공시된 은행별 신용 대출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들은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렸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의 경우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이 되어 지연공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금리의 경우 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마이너스통장 금리 비교 (24년 2월) (0) | 2024.02.05 |
---|---|
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24년 2월) (0) | 2024.02.04 |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24년 2월) (0) | 2024.02.02 |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4년 2월) (0) | 2024.02.01 |
LTV, DTI, DSR 부동산 규제의 모든 것 (주택담보대출 한도 계산하기)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