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4년 1월)

by AI 초이스 2024. 1. 2.

 

지난 12월 13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에서 2023년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기준금리가 5.5%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번에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9월과 11월 이후 세 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목표인 2%대 물가상승률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기준 금리를 조금 더 유지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겠다고 합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 5월이나 6월에 금리 인하를 시작할 거란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 연준 의원들의 금리전망 점도표에는 내년에 3회에 걸쳐 0.75%포인트 가량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11월 30일에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월 이후 7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높아졌지만 장기적으로 물가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대외 여건도 불확실해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함께 한국의 경제 전문가들도 내년 3분기부터 기준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준 금리에 맞춰 대출 금리도 함께 내려갈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 한국은행

 

 

현재 금리 기준으로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2%입니다.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 금리 추이와 차이를 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 연합뉴스

 

 

그럼 본격적으로 시중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은행별 자금 보유 현황이나 정책 그리고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또한 상품별로 우대금리 차이가 있어 동일한 상품이어도 고객에 따라 대출금리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시중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상품들의 금리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금리 정보는 금융감독원 2024년 1월 2일에 공시되어 있는 전세자금대출을 금리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상환 방식은 만기일시상환이며 변동 금리 상품을 기준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은행의 전세자금 대출상품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은행별로도 하나의 상품이 아닌 여러 상품이 존재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은행별 전세자금대출금리 비교 그래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환 방식은 만기일시상환이며 금리 방식은 변동금리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은행들의 전세자금대출 상품의 금리 중에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위 그래프를 살펴보면 케이뱅크의 전세대출 상품이 최저 금리가 3.3%로 가장 낮습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지난 11월에 비해 상품들의 금리가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그럼 각 은행 상품별 최저금리와 최고금리 그리고 전월 평균금리를 정리한 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상품명 최저 최고 전월평균금리
주식회사 케이뱅크 고정금리 전세대출 3.30% 3.30% 3.73%
하나은행 원큐 주택신보 전세자금대출 3.58% 4.58% 4.35%
부산은행 BNK행복스케치전세자금대출 3.70% 4.70% 4.38%
하나은행 원큐 다둥이전세론 3.74% 4.74% 4.05%
주식회사 케이뱅크 전세대출 3.74% 3.74% 4.08%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전월세보증금 대출 3.87% 4.07% 3.89%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SGI 전월세보증금 대출 3.94% 4.14% 4.11%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주택금융보증) 3.96% 4.96% 4.63%
토스뱅크 주식회사 전월세보증금대출 4.01% 4.01% 3.99%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4.12% 5.52% 4.67%
하나은행 원큐 우량주택전세론 4.14% 5.14% 4.72%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4.14% 5.54% 4.93%
신한은행 신한전세대출(서울보증) 4.15% 5.55% 4.42%
신한은행 신한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4.19% 5.59% 4.56%
대구은행 DGB 전세자금대출 4.21% 4.71% 4.49%
대구은행 무방문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4.21% 4.21% 4.43%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서울보증) 4.25% 5.25% 4.82%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4.26% 5.96% 4.80%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4.26% 5.96% 4.49%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서울보증보험) 4.32% 5.52% 4.70%
국민은행 KB주택전세자금대출 4.38% 5.78% 4.70%
경남은행 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4.40% 6.28% 4.16%
대구은행 DGB POWER 전세보증대출 4.41% 4.91% 4.66%
대구은행 무방문전세자금대출 4.41% 4.41% 4.55%
부산은행 BNK전세안심대출 4.43% 5.43% 4.59%
부산은행 BNK프리미엄전세자금대출 4.43% 5.43% 4.59%
부산은행 BNK행복스케치전세자금대출 4.43% 5.43% 4.59%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서울보증보험) 4.44% 5.94% 4.53%
중소기업은행 IBK안심전세대출 4.55% 5.35% 4.69%
국민은행 KB플러스전세자금대출 4.55% 5.95% 4.81%
중소기업은행 임차자금 4.61% 5.41% 4.98%
중소기업은행 IBK안심전세대출 4.63% 6.43% 4.16%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주택금융보증) 4.67% 5.67% 4.67%
중소기업은행 임차자금 4.69% 6.49% 4.63%
중소기업은행 IBK전세대출 4.75% 5.55% 4.74%
중소기업은행 IBK전세대출 4.83% 6.63% 4.29%
수협은행 Sh전세보증대출(주택금융공사) 4.87% 6.87% 5.37%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서울보증) 4.96% 5.96% 4.87%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전세담보대출 5.04% 5.94% 5.24%
수협은행 공공주택임차보증금담보대출 5.41% 6.91% 5.52%
전북은행 BEST전세자금대출 6.03% 7.33% 6.97%
제주은행 JJB일반전세자금대출 6.62% 7.32% 6.73%
제주은행 주택전세자금대출 6.62% 7.32% 6.03%

 

표를 보면 시중의 대부분의 은행들이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은행별로 동일 상품이지만 보증기관에 따라 종류가 다르게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세 상품의 경우 3%대의 금리도 있지만 주로 4%대의 상품들이 가장 많습니다.

 

 

은행마다 그리고 은행 내에서도 고객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대출을 하시기 전에 미리 은행에 가서 금리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출의 경우 주거래 은행만 고려하기보다는 직접 여러 은행을 비교하여 대출을 받으시면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1월 기준 가장 최근에 공시된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는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최신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의 경우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이 되어 지연공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금리의 경우 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낮은 금리를 가지는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