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3년 11월)

by AI 초이스 2023. 11. 1.

 

지난 11월 1일 미국 연준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여 기준금리가 5.5%로 유지되었습니다.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지난 9월 이후 두 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금융권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이 종점에 왔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고금리'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행은 10월 19일에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월 이후 6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이로써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2%나 벌어진 상황입니다. 미국과의 금리가 많이 벌어져 있는 상황인데 이후 한국은행에서도 격차를 줄이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릴지 말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 금리 추이와 차이를 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s://bit.ly/3QVxjVQ

 

그럼 본격적으로 시중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은행별 자금 보유 현황이나 정책 그리고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또한 상품별로 우대금리 차이가 있어 동일한 상품이어도 고객에 따라 대출금리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시중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상품들의 금리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금리 정보는 금융감독원 11월 1일에 공시되어 있는 전세자금대출을 금리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상환 방식은 만기일시상환이며 변동 금리 상품을 기준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은행의 전세자금 대출상품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은행별로도 하나의 상품이 아닌 여러 상품이 존재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은행별 전세자금대출금리 비교 그래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환 방식은 만기일시상환이며 금리 방식은 변동금리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은행들의 전세자금대출 상품의 금리 중에 최저 금리를 기준으로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카카오뱅크의 전월세보증금 대출 상품의 최저금리가 3.66%로 가장 낮습니다. 지난달에 비해 금리가 많이 올라 최저 금리가 3%대인 상품이 6개로 지난 10월 11개에 비해 많이 줄었습니다. 

 

 

그럼 각 은행 상품별 최저금리와 최고금리 그리고 전월 평균금리를 정리한 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상품명 최저 최고 전월 평균금리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전월세보증금 대출 3.66% 3.86% 3.70%
하나은행 원큐 다둥이전세론 3.75% 4.75% 3.72%
주식회사 케이뱅크 전세대출 3.86% 3.86% 4.00%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SGI 전월세보증금 대출 3.89% 4.09% 4.02%
하나은행 원큐 주택신보 전세자금대출 3.91% 4.91% 4.04%
토스뱅크 주식회사 전월세보증금대출 3.97% 3.97% 3.77%
신한은행 신한전세대출(서울보증) 4.00% 5.40% 4.42%
신한은행 신한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4.04% 5.44% 4.39%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금융공사) 4.21% 5.91% 4.23%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주택도시보증공사) 4.21% 5.91% 4.06%
경남은행 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4.22% 6.56% 3.85%
중소기업은행 IBK안심전세대출 4.25% 6.35% 3.75%
국민은행 KB주택전세자금대출 4.28% 5.68% 4.45%
중소기업은행 임차자금 4.31% 6.41% 4.50%
하나은행 원큐 우량주택전세론 4.32% 5.32% 4.40%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주택금융보증) 4.32% 5.32% 4.28%
부산은행 BNK전세안심대출 4.37% 5.37% 4.52%
부산은행 BNK프리미엄전세자금대출 4.37% 5.37% 4.41%
부산은행 BNK행복스케치전세자금대출 4.37% 5.37% 4.52%
농협은행주식회사 NH전세대출(서울보증보험) 4.39% 5.89% 4.11%
중소기업은행 IBK전세대출 4.45% 6.55% 3.89%
국민은행 KB플러스전세자금대출 4.45% 5.85% 4.52%
대구은행 무방문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4.52% 4.52% 4.70%
대구은행 DGB 전세자금대출 4.52% 5.02% 4.58%
경남은행 모바일전월세자금대출 4.61% 6.61% 4.57%
우리은행 우리전세론(서울보증) 4.61% 5.61% 4.52%
대구은행 DGB POWER 전세보증대출 4.82% 5.32% 4.77%
대구은행 무방문전세자금대출 4.82% 4.82% 4.80%
수협은행 Sh전세금안심대출 4.99% 6.94% 4.95%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전세담보대출 5.02% 5.92% 5.13%
수협은행 공공주택임차보증금담보대출 5.29% 6.79% 5.43%
제주은행 주택전세자금대출 6.60% 7.30% 5.87%

 

 

정리된 표를 보면 대부분의 은행들이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세대출 상품의 금리의 경우 3%대도 있지만 주로 4%이상의 상품이 대다수입니다.

현재 전세대출 상품 금리의 경우 3~7%까지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은행마다 그리고 은행 내에서도 고객마다 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대출을 하시기 전에 미리 은행에 가서 금리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출의 경우 주거래 은행만 고려하기보다는 직접 여러 은행을 비교하여 대출을 받으시면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11월 기준 가장 최근에 공시된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는 금융감독원에 공시되어 있는 최신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의 경우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이 되어 지연공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금리의 경우 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낮은 금리를 가지는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