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5월 공시 기준 은행별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 대출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금리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가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미국의 금리에 맞춰서 기준금리를 함께 올리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2021년 8월부터 기준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2023년 1월에 기준 금리가 0.25% 올라 현재는 3.5%입니다. 2023년 2월에는 기준금리가 동결되었습니다.
그러나 지난 3월 22일에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에서 기준 금리를 0.25% 올린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미국의 기준 금리는 현재 5%이며 한국의 기준금리는 3.5%로 현재 미국보다 낮은 기준 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 금리차이가 또 다시 벌어짐에 따라 한국은행에서도 기준 금리를 더 올릴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기준 금리는 오르고 있지만 최근 시중 은행의 대출 금리는 계속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시중 은행의 가계 대출 금리가 넉달째 하락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정의하는 대출금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출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 - 우대금리
가산금리는 은행에서 대출을 발생시키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구성해서 구성된 추가적인 금리이며 은행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우대금리 역시 은행별로 그리고 고객별로 차이가 존재합니다.
그럼 시중 은행의 마이너스통장 대출금리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 비교 자료는 금융감독원에서 최근에 공시한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은행별 평균금리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카카오뱅크의 최저금리가 5.17%로 가장 낮습니다. 그리고 가장 높은 금리는 전북은행으로 7.34%입니다.
은행별 신용 점수에 따른 최저 대출금리와 최고 대출금리 그리고 평균 금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 은행별 고객의 신용 점수에 따라 대출금리가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은행명 | 최저금리 | 최고금리 | 평균금리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 5.17 | 8.07 | 5.59 |
경남은행 | 5.43 | 6.49 | 5.55 |
신한은행 | 5.68 | 13.55 | 6.01 |
주식회사 케이뱅크 | 5.71 | 8 | 5.97 |
중소기업은행 | 5.76 | 8.63 | 5.82 |
하나은행 | 5.99 | 7.25 | 6.02 |
우리은행 | 6.03 | 12 | 6.1 |
제주은행 | 6.09 | 6.99 | 6.19 |
국민은행 | 6.18 | 7.04 | 6.27 |
농협은행주식회사 | 6.23 | 6.66 | 6.27 |
부산은행 | 6.29 | 6.92 | 6.4 |
광주은행 | 6.64 | 9.86 | 6.86 |
토스뱅크 주식회사 | 6.67 | 12.44 | 7 |
대구은행 | 6.71 | 8.53 | -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 7.11 | 9.5 | 7.36 |
전북은행 | 7.34 | 14.02 | 7.68 |
대출금리의 경우 대부분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낮고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높습니다. 그러나 몇몇 은행의 경우 신용점수가 낮은데 더 낮은 대출금리를 제공하는 은행들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3년 5월 현재 공시되어 있는 은행별 마이너스통장 (신용한도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위 자료들은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린 것입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의 경우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이 되어 지연공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금리의 경우 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마이너스통장을 개설하고 사용하실 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자유적금 금리비교 (23년 5월) (0) | 2023.05.01 |
---|---|
은행 정기적금 금리 비교 (23년 5월) (0) | 2023.05.01 |
은행 신용대출 금리 비교 (23년 5월) (0) | 2023.05.01 |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23년 5월) (0) | 2023.05.01 |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3년 5월)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