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시중 은행의 자유적금 금리 비교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의 경우 국내외 정세에 영향을 받아 변하게 됩니다.
시중 은행의 자유적립식 적금 금리를 알아보기 전에 간단히 미국과 국내의 경제 상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5월 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기준금리가 5.5%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번에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9월 이후 6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연준은 여전히 물가 상승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기준 금리를 동결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올해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연준의 금리 인하 신중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의 기준 금리는 어떨까요?
한국은 4월 11일에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3.5%로 동결하였습니다. 지난 2월 이후 10차례 동결입니다.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가 불투명해지면서 한국 역시 금리인하가 아닌 기존 기준 금리인 3.5%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미국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으로 한국의 통화정책 방향을 다시 점검해봐야 한다는 게 한국은행의 입장입니다.
현재 금리 기준으로 미국과의 금리 차이는 2%입니다.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 금리 추이와 차이를 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중 은행별 자유적금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의 적금금리는 기준금리와 함께 은행별 자금 보유 현황이나 정책 그리고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또한 상품별로 우대금리 차이가 있어서 같은 상품이어도 고객마다 금리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은행별 자유적금 금리결과를 비교하는 그래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의 경우 최고 우대 금리를 기준으로 저축기간이 12개월인 상품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금리를 보면 국민은행의 자유적립식 상품이 우대금리 포함하여 금리가 8%로 가장 높습니다. 하지만 기본 금리와의 금리차이가 조금 큰 편입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지난 4월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각 상품별로 기본 금리와 우대금리가 적용된 금리를 표로 정리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은행 상품명 | 기본금리 | 최고 우대금리 |
국민은행 KB차차차 적금 | 2.50% | 8.00% |
중소기업은행 IBK탄소제로적금(자유적립식) | 3.00% | 7.00% |
제주은행 MZ 플랜적금 | 3.80% | 5.80% |
광주은행 텔레파시적금 | 3.00% | 5.80% |
경남은행 BNK 위더스(With-us)자유적금 | 3.05% | 5.55% |
제주은행 jbank 저금통적금 | 3.45% | 5.55% |
제주은행 탐이나요적금 | 2.50% | 5.20% |
중소기업은행 IBK D-day적금(자유적립식) | 3.60% | 5.10% |
광주은행 여행스케치_남도투어적금 | 3.00% | 4.90% |
주식회사 케이뱅크 주거래우대 자유적금 | 4.10% | 4.70% |
대구은행 내가만든 보너스적금 | 3.80% | 4.60% |
국민은행 KB반려행복적금 | 3.00% | 4.50% |
신한은행 한 달부터 적금 (매주입금) | 2.50% | 4.50% |
수협은행 헤이(Hey)적금(자유적립식) | 3.60% | 4.50% |
경남은행 BNK더조은자유적금 | 3.75% | 4.45% |
우리은행 우리SUPER주거래적금 | 2.55% | 4.45% |
부산은행 펫 적금 | 3.50% | 4.40% |
농협은행주식회사 NH고향사랑기부적금 | 3.40% | 4.40% |
광주은행 해피라이프_여행스케치적금V | 3.10% | 4.30% |
신한은행 신한 알.쏠 적금 | 3.00% | 4.30% |
우리은행 WON적금 | 4.00% | 4.20% |
주식회사 케이뱅크 코드K 자유적금 | 4.20% | 4.20% |
농협은행주식회사 NH내가Green초록세상적금 | 3.10% | 4.10% |
대구은행 IM스마트적금 | 3.45% | 3.90% |
전북은행 JB 다이렉트적금(자유적립식) | 3.75% | 3.85% |
광주은행 VIP플러스적금 | 3.30% | 3.80% |
부산은행 저탄소 실천 적금 | 3.35% | 3.75% |
하나은행 내맘적금 | 3.25% | 3.75%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 3.50% | 3.70% |
수협은행 Sh해양플라스틱Zero!적금 (자유적립식) | 3.15% | 3.65% |
토스뱅크 주식회사 토스뱅크 자유 적금 | 3.00% | 3.50% |
한국산업은행 KDB 자유적금 | 3.36% | 3.36% |
국민은행 KB맑은하늘적금 | 2.55% | 3.35%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퍼스트가계적금 | 3.35% | 3.35% |
부산은행 내맘대로 적금 | 3.00% | 3.20% |
위 표는 자유적금 상품들을 최고 우대 금리가 높은 순서로 나열한 것입니다. 우대금리가 적용되면 4% 이상 적용되는 상품들이 대다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5월에 공시되어 있는 은행별 자유적금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렸습니다. 위의 데이터는 가장 최근에 공시된 자료이긴 하지만 정보의 변경과 공시의 시차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은 거래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은행의 자유적금 상품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정기적금 금리 비교 (24년 5월) (1) | 2024.05.14 |
---|---|
은행 마이너스통장 금리 비교 (24년 5월) (1) | 2024.05.13 |
은행 신용대출 금리 비교 (24년 5월) (1) | 2024.05.10 |
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24년 5월) (0) | 2024.05.09 |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4년 5월) (1) | 2024.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