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13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에서 2023년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기준금리가 5.5%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번에 기준 금리를 동결하면서 9월과 11월 이후 세 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목표인 2%대 물가상승률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기준 금리를 조금 더 유지하면서 추이를 지켜보겠다고 합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 5월이나 6월에 금리 인하를 시작할 거란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 연준 의원들의 금리전망 점도표에는 내년에 3회에 걸쳐 0.75% 포인트 가량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11월 30일에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월 이후 7차례 연속 동결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높아졌지만 장기적으로 물가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대외 여건도 불확실해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함께 한국의 경제 전문가들도 내년 3분기부터 기준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준 금리에 맞춰 대출 금리도 함께 내려갈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금리 기준으로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2%입니다.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 금리 추이와 차이를 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은행별 정기적금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의 적금금리는 기준금리와 함께 은행별 자금 보유 현황이나 정책 그리고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또한 상품별로 우대금리 차이가 있어 고객마다 금리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중 은행들의 정기적금 상품별 금리를 비교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금리의 경우 최고우대금리를 기준으로 만기 12개월인 상품들을 그래프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중 은행들의 정기적금 상품들을 살펴보면 광주은행의 텔레파시 적금 상품의 경우 최고우대금리가 적용되면 6%입니다. 그 외에 5%가 넘은 적금 상품들은 3개가 있습니다.
적금 금리는 지난달에 비해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그럼 각 상품별로 기본 금리와 최고 우대금리가 얼마나 되는지 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 상품명 | 기본금리 | 최고 우대금리 |
광주은행 텔레파시적금 | 3.20% | 6.00% |
전북은행 JB 카드 재테크 적금 (정기적립식) | 1.00% | 5.50% |
경남은행 주거래프리미엄적금 | 3.55% | 5.15% |
광주은행 여행스케치_남도투어적금 | 3.20% | 5.10% |
우리은행 우리SUPER주거래적금 | 2.75% | 4.65% |
경남은행 행복Dream적금 | 3.60% | 4.60% |
부산은행 펫 적금 | 3.60% | 4.50% |
광주은행 해피라이프_여행스케치적금V | 3.30% | 4.50% |
대구은행 마이(My)적금 | 3.46% | 4.36% |
우리은행 WON적금 | 4.00% | 4.20% |
광주은행 VIP플러스적금 | 3.60% | 4.10% |
대구은행 내손안에 적금 | 3.46% | 4.01% |
수협은행 Sh해양플라스틱Zero!적금 (정액적립식) | 3.50% | 4.00% |
수협은행 Sh평생주거래우대적금 | 2.60% | 3.80% |
하나은행 내맘적금 | 3.30% | 3.80% |
수협은행 헤이(Hey)적금(정액적립식) | 2.90% | 3.80% |
국민은행 KB국민프리미엄적금(정액) | 2.75% | 3.65%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퍼스트가계적금 | 3.50% | 3.50% |
한국산업은행 정기적금 | 2.60% | 2.60% |
위 표는 최고우대금리 적용 시 높은 금리를 기준으로 나열하였습니다. 우대금리가 적용되면 많게는 금리가 6%가 넘는 상품도 있으며 4% 이상인 상품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1월 기준 공시되어 있는 은행별 정기적금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렸습니다. 위의 데이터는 가장 최근에 공시된 자료이긴 하지만 정보의 변경과 공시의 시차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은 거래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은행의 정기적금 상품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할부 금리 비교 (24년 1월) (1) | 2024.01.06 |
---|---|
은행 자유적금 금리비교 (24년 1월) (1) | 2024.01.05 |
은행 마이너스통장 금리 비교 (24년 1월) (0) | 2024.01.04 |
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 (24년 1월) (1) | 2024.01.04 |
은행 신용대출 금리 비교 (24년 1월) (1)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