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3일에 발표한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1%로 지난 4월의 4.9%에서 대폭 둔화가 되었습니다. CPI는 미국의 연준에서 금리 상승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와 같이 CPI 상승세가 꺾이면서 앞으로 금리 상승이 멈추는 것을 넘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미국이 금리를 동결하고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나라의 금리에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현재 한국의 기준 금리는 7월 기준 3.5%로 2023년 1월부터 계속 동결 중입니다. 이와 같이 금리를 동결한 이유 중 하나는 물가 흐름이 뚜렷한 안정세인데다 추가 인상에 따른 경기 위축 부담 때문에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중 은행별 자유적금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은행의 적금금리는 기준금리와 함께 은행별 자금 보유 현황이나 정책 그리고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또한 상품별로 우대금리 차이가 있어서 같은 상품이어도 고객마다 금리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 은행별 자유적금 금리결과를 비교하는 그래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의 경우 최고 우대 금리를 기준으로 저축기간이 12개월인 상품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금리를 살펴보면 IBK 은행의 자유적립식 상품이 최고 우대 금리가 적용되면 7%의 금리를 적용해주고 있습니다. 기본 금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신한은행의 신한 청년저축왕 적금이 4.35%로 가장 높습니다.
그럼 각 상품별로 기본금리와 우대금리가 최고로 적용된 금리를 표로 정리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은행 상품명 | 기본금리 | 최고 우대금리 |
중소기업은행 IBK탄소제로적금(자유적립식) | 3.00% | 7.00% |
신한은행 신한 청년저축왕 적금 | 4.35% | 5.65% |
제주은행 jBANK 저금통적금 | 3.45% | 5.55% |
중소기업은행 IBK D-day적금(자유적립식) | 3.85% | 5.35% |
제주은행 탐이나요적금 | 2.50% | 5.20% |
제주은행 MZ플랜적금 | 3.80% | 5.20% |
제주은행 더탐나는적금3 | 3.70% | 5.20% |
광주은행 여행스케치_남도투어적금 | 3.00% | 4.90% |
주식회사 케이뱅크 주거래우대 자유적금 | 4.20% | 4.80% |
대구은행 내가만든 보너스적금 | 3.80% | 4.60% |
국민은행 KB반려행복적금 | 3.00% | 4.50% |
우리은행 우리SUPER주거래적금 | 2.55% | 4.45% |
경남은행 BNK더조은자유적금 | 3.75% | 4.45% |
부산은행 펫 적금 | 3.50% | 4.40% |
광주은행 해피라이프_여행스케치적금V | 3.10% | 4.30% |
신한은행 신한 알.쏠 적금 | 3.00% | 4.30% |
주식회사 케이뱅크 코드K 자유적금 | 4.30% | 4.30% |
농협은행주식회사 NH고향사랑기부적금 | 3.40% | 4.30% |
우리은행 WON적금 | 4.00% | 4.20% |
농협은행주식회사 NH내가Green초록세상적금 | 3.10% | 4.10%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 3.80% | 4.00% |
대구은행 IM스마트적금 | 3.45% | 3.90% |
전북은행 JB 다이렉트적금(자유적립식) | 3.80% | 3.90% |
수협은행 헤이(Hey)적금(자유적립식) | 2.90% | 3.80% |
하나은행 내맘적금 | 3.25% | 3.75% |
부산은행 내맘대로 적금 | 3.55% | 3.75% |
부산은행 저탄소 실천 적금 | 3.35% | 3.75% |
광주은행 쏠쏠한MY디지털적금 | 3.30% | 3.70% |
수협은행 Sh해양플라스틱Zero!적금 (자유적립식) | 3.15% | 3.65% |
한국산업은행 KDBdream 자유적금 | 3.53% | 3.63%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퍼스트가계적금 | 3.35% | 3.35% |
위 표는 자유적금 상품들을 최고 우대 금리가 높은 순서로 나열한 것입니다. 우대금리가 적용되면 4% 이상 적용되는 상품들이 대다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7월에 공시되어 있는 은행별 자유적금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위의 자료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렸습니다. 위의 데이터는 가장 최근에 공시된 자료이긴 하지만 정보의 변경과 공시의 시차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은 거래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은행의 자유적금 상품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23년 8월) (0) | 2023.08.05 |
---|---|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3년 8월) (0) | 2023.08.03 |
자동차 할부 금리 비교 (23년 7월) (0) | 2023.07.07 |
은행 정기 적금 금리 비교 (23년 7월) (0) | 2023.07.06 |
은행 마이너스통장 금리 비교 (23년 7월) (1)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