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6월 공시 기준 은행별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 대출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3.5%로 2월, 4월, 5월 회의에서 세 차례 연속 동결을 단행했습니다. 한국은행은 물가 흐름이 애초 예상대로 뚜렷한 안정세인 데다 추가 인상에 따른 경기 위축 부담 때문에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지표금리가 내려간 데다 은행의 가산, 우대금리 조정 등의 영향으로 은행들의 대출금리가 5개월 연속 하락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정의하는 대출금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출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 - 우대금리
가산금리는 은행에서 대출을 발생시키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구성해서 구성된 추가적인 금리이며 은행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우대금리 역시 은행별로 그리고 고객별로 차이가 존재합니다.
그럼 시중 은행의 마이너스통장 금리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 비교 자료는 금융감독원에서 최근에 공시한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은행별 마이너스 통장 최저 금리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최저 금리를 살펴보면 우리 은행이 3.68%로 가장 낮습니다. 지난달 최저금리에 비해서 상당히 하락하였습니다. 다른 은행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대부분의 은행들이 마이너스 통장 금리를 지난달에 비해 낮췄습니다.
은행별 신용 점수에 따른 최저 대출금리와 최고 대출금리 그리고 평균 금리를 정리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 은행별 고객의 신용 점수에 따라 대출금리가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은행명 | 최저금리 | 최고금리 | 평균금리 |
우리은행 | 3.68 | 7.46 | 5.81 |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 4.94 | 7.74 | 5.73 |
신한은행 | 5.24 | 13.31 | 5.72 |
경남은행 | 5.27 | 6.16 | 5.41 |
중소기업은행 | 5.64 | 7.29 | 5.71 |
국민은행 | 5.68 | 6.7 | 5.74 |
하나은행 | 5.78 | 5.91 | 5.8 |
농협은행주식회사 | 5.79 | 7.01 | 5.95 |
부산은행 | 6.01 | 6.68 | 6.15 |
제주은행 | 6.13 | 6.75 | 6.16 |
주식회사 케이뱅크 | 6.23 | 8.54 | 6.56 |
대구은행 | 6.49 | 9.7 | 7.04 |
토스뱅크 주식회사 | 6.51 | 12.46 | 6.81 |
광주은행 | 6.58 | 7.99 | 6.67 |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 6.92 | 9.45 | 7.12 |
전북은행 | 7.09 | 13.17 | 7.5 |
대출금리의 경우 대부분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낮고 신용점수가 낮을수록 높습니다. 그러나 몇몇 은행의 경우 신용점수가 낮은데 더 낮은 대출금리를 제공하는 은행들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3년 6월 현재 공시되어 있는 은행별 마이너스통장 (신용한도대출) 금리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위 자료들은 금융감독원에 공시된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린 것입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의 경우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은행의 상품별 이자율 등 거래조건이 수시로 변경이 되어 지연공시가 될 수 있으므로 실제 금리의 경우 은행에 직접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마이너스통장을 개설하실 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 자유적금 금리비교 (23년 6월) (0) | 2023.06.02 |
---|---|
은행 정기적금 금리 비교 (23년 6월) (0) | 2023.06.01 |
은행 신용대출 금리 비교 (23년 6월) (0) | 2023.06.01 |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23년 6월) (0) | 2023.06.01 |
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23년 6월) (0) | 2023.06.01 |